Surprise Me!

[경제쏙쏙] 여전히 비싼 사과값…여름휴가때 필요한 꿀팁은

2024-06-05 6 Dailymotion

[경제쏙쏙] 여전히 비싼 사과값…여름휴가때 필요한 꿀팁은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쏙쏙 시간입니다.<br /><br />경제부 박진형 기자와 함께합니다.<br /><br />첫 번째 뉴스는 밥상 물가입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안정적이라는 발표가 나오지만, 실제 느끼는 것과는 많이 다른 것 같은데 왜 그런 건가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물가 관련 통계가 나올 때마다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<br /><br />실제로 물가가 많이 오른 것 같은데 왜 통계는 다르냐, 이번에도 비슷합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은 5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.7%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3%를 웃돌던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 이래 두 달 연속 2%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두 달 연속으로 정부의 물가 안정 목표인 2%대 안에 들어오면서 큰 틀에서 보면 양호한 수치입니다.<br /><br />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2%대 초반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'장바구니 물가'는 여전히 불안한 흐름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과일 등 농산물은 여전히 높은 상승세가 유지된 건데요.<br /><br />사과는 80%, 배는 역대 최고 126%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채소 가격 강세도 이어져 토마토와 양배추가 각각 38%, 56% 비싸졌습니다.<br /><br />국제유가 상승에 석유류 물가도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3.1%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'밥상 물가'와 밀접한 신선식품 지수는 17.3% 올랐고,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.1% 상승해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신선식품 중에서 과일 가격이 굉장히 높은 이유가 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표적인 과일은 사과, 금사과로도 불리는데, 사과값이 오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.<br /><br />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기후변화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사과는 기본적으로 서늘한 기온에서 자라는 과일입니다.<br /><br />지구온난화로 평균기온이 오를수록 사과를 키우기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.<br /><br />특히 야간에는 7℃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최소 1,200∼1,500시간을 보내야 하는데 요즘처럼 열대야가 계속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?<br /><br />그러다 보니 우리나라 사과 재배지도 점차 줄어들고 있어요.<br /><br />일단 기본 공급이 부족한 겁니다.<br /><br />수입하면 되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지만, 이 역시 다른 나라 병충해를 고려하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나머지 한가지는 뭔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마지막으로는 유통의 문제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유통구조 문제를 늘 고민하지만, 막상 유통에 종사하는 수많은 사람으로 인해 쉽게 결론 내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사과값은 거기서 끝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비싼 사과 대신 다른 과일로 수요가 몰리면 다른 과일 가격도 오르게 되는 상황이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일단 정부는 과일류 28종 할당관세를 하반기까지 연장하고, 식품 원료 19종에 대해서도 할당관세를 연장하거나 새로 적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요즘 우스갯소리로 과일 먹으러 동남아 간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입니다.<br /><br />휴가 가서 다양한 과일 먹고 오겠다는 건데, 맘 편히 사과 먹을 날이 왔으면 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러면 적정한 가격에 사과를 먹으려면 언제쯤 가능한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답을 하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말한 여러 요인이 모두 해결돼야 한다고 하면 조금 무책임한 대답이 될 듯한데요.<br /><br />농식품부는 올해 생육이 양호해 평년 수준 생산을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작년에는 기상재해로 생산량이 30% 줄었는데 좀 늘어날 수 있다는 거죠.<br /><br />따라서 올해 가을 수확할 때쯤 되면 조금은 가격이 안정화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케이 웹툰에 인기가 대단하다고 들었는데, 나스닥 상장 가능성도 이야기가 나오네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이버웹툰이 미국 나스닥 상장 절차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미 증권거래위원회(SEC)와 블룸버그 보도 등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의 본사이자 북미 소재 법인인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지난달 31일(현지시간) 기업공개(IPO)를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.<br /><br />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이번 IPO를 계기로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지적재산(IP) 사업을 확장할 가능성이 크다.<br /><br />현지에서 웹소설과 웹툰 IP를 확보하고 영상화하는 사업 등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케이 웹툰이 미국뿐 아니라 만화의 본고장 일본에서도 인기라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이버웹툰의 일본어 서비스 라인망가가 지난달 처음으로 일본 애플리케이션(앱) 마켓에서 소비자 지출 1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과거 전 세게 만화시장에서 일본 망가가 엄청난 인기를 얻었는데 이제는 우리나라 웹툰이 앞서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라인망가는 2013년 일본에서 처음 웹툰 서비스를 시작해, 그간 꾸준히 한국 인기 웹툰을 일본에 소개해왔으며, 지난해에는 웹툰 '입학용병', '약탈신부', '재혼황후', '상남자' 등 인기작의 월 거래액이 1억엔(약 8억8천만원)을 넘기는 등 좋은 성적을 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K 콘텐츠 하면 만화, 영화, 드라마도 있지만 먹거리도 있잖아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표적인 것이 라면입니다.<br /><br />기억하시겠지만 영화 기생충의 인기로 짜파구리가 덩달아 알려졌고, 인기 연예인들의 라면 먹방, 매운 라면 챌린지 등이 한국 라면을 알렸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매출로도 연결됐는데요.<br /><br />한국의 라면 수출 금액이 2개월 연속 1억 달러를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라면 수출액이 1억730만달러(약 1천470억원)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 1억859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(7천395만달러)보다 46.8% 증가해 처음 1억 달러를 돌파하고서 두 달째 1억 달러를 웃돈 것입니다.<br /><br />한국 라면의 가장 큰 수출 시장인 중국에서는 한국 업체의 주요 온라인 유통망 입점이 확대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.7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시장 수출액은 71.4% 늘었고, 아세안과 유럽에서도 각각 24.8%와 49.5% 증가하는 등 세계적으로 라면 수출은 호조세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기차 출시가 계속되고 있는데, 저가 전기차 출시도 많아지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도 저가 전기차 경쟁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저가 전기차라고 한다면 실구매가가 3,000만원 수준을 의미하는데요.<br /><br />먼저 기아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(SUV) '더 기아 EV3' ...

Buy Now on CodeCanyon